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애기

BCG 매트릭스: 경영컨설팅의 기초

오늘은 경영컨설팅의 기초인 BCG 매트릭스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Boston Consulting Group에서 경영컨설팅 지표를 만든 것인데요,

앞글자를 따 BCG가 된 것입니다.

 

한 기업이 사업의 확장, 투자, 철수 등을 결정하기 위해  

투자금 및 경영자원 배분에 대해 구성하는 일을

'사업 포트폴리오' 작성이라고 합니다.

 

 

 

 

BCG매트릭스는 이러한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자주 사용되는 툴입니다.

 

 

상대적 시장점유율을 X축, 시장 성장률을 Y축에 두고

기업의 미래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STAR : 독점기업

CASH COW : 현금이 많이 창출되는 군

QUESTION MARK : 사업초기 투자가 필요한 군

DOG : 사장산업

 



· 문제아 (Question Mark)

점유율 / 성장성


성장성이 높은 영역이지만 스타로 키우기 위해서는 높은 투자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사업초기에는 대부분 이 영역에 속하게 된다.

적극적 투자를 통해 스타(Star)영역으로 키울지, 사업을 접을지를 결정해야 한다.



· 스타 (Star)

점유율 ▲ / 성장성


현재 시장점유율이 높은 상태로 자체 사업을 통해 많은 현금을 벌어들이지만, 급속히 성장하는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거나 증대시키기 위해 계속 많은 자금을 필요로 한다.



· 캐시카우 (Cash Cow)

점유율 ▲ / 성장성


추가로 들어가는 투자비 없이 현금이 많이 창출되는 '효자사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전략이 중요하다.

캐시카우 영역에서 발생하는 수익으로 스타 영역과 문제아(물음표)영역으로 적절한 투자분배가 이루어져야 한다.

 

· 개 (Dog)

점유율 / 성장성


성장가능성이 없으므로 투자를 늘릴 필요가 없다.

시장점유율이 낮으므로 현금 발생도 적다.

적절한 사업 철수 전략이 필요하다.

 

 

 

해당 군의 선순환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업에서는 다음과 같이 활용합니다.